}

건축산업기사 필기 건축시공2018 기출문제,건축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실기,건축기사 실기,건축설계#자격증#실기#필기#건축산업기사 필기 건축시공2018 기출문제

본문 바로가기
  • } }

건축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필기 건축시공2018 기출문제,건축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실기,건축기사 실기,건축설계#자격증#실기#필기#건축산업기사…

Page info

Writer Date25-05-08 00:00 Hit31 Comment0

Body

건축기사(산업) 실기 ,필기 외울것 반복적으로 보고 외워요
생소한 건축용어 같이 알아봅시다
건축산업기사 필기 건축시공2018 기출문제
1. 목공사에서 건축연면적(㎡)당
먹매김의 품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건축물은?
1, 고급주택
2,학교
3,사무소
4, 은행

정답 : 1번
목공사의건축연면적(제곱미터당) 먹매김의 품
고급주택 : 0.055~0.089인,
학교 공장 : 0.024~0.041인
사무실 : 0.041~0.058인,
보통주택 은행 : 0.055~ 0.078인
2. 철골구조의 판보에 수직 스티프너를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 힘에 저항하기 위함인가?
1, 인장력
2, 전단력
3, 휨모멘트
4, 압축력

정답 : 2번
스티프너는 강 부재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수직보강재로서
웨브 플레이트에서 전단력을
저항하기 위해 수직 스티프너로 보강한다
3. 다음은 기성콘크리트 말뚝의
중심간격에 관한 기준이다
A와 B에 각각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기성콘크리트 말뚝을 타설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 지름의
( A )배 이상 또한 ( B )㎜ 이상으로 한다
1, A:1.5, B:650
2, A:1.5, B:750
3, A:2.5, B:650
4, A:2.5, B:750
정답 : 4번
기성콘크리트말뚝의 중심간격은
말뚝머리 지름의 2.5배 이상
또한 750mm 이상으로 한다
4. 가설공사 시 설치하는
벤치마크(Bench Mark)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 높이 및 위치의 기준이 되는 표식이다
2, 비, 바람 또는 공사 중의 지반 침하, 진동 등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는 곳은 피한다
3, 건물이 완성된 후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한다,
4, 점검작업의 번잡을 피하기 위하여
가급적한 장소에 설치한다
정답: 4번
벤치마크 : 건물의 위치및
높이 기준이 되는 표식으로
기준면으로부터 표고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표시해 둔 점으로
높이 측량의 기준이 되며,
최소 2개소 이상 여러 곳에 표시해 두는 것이 좋다
5. 다음 미장공법 중 균열이 가장 적게 생기는 것은?
1, 회반죽 바름,
2,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바름,
3, 경석고 플라스터 바름,
4,시멘트 모르타르 바름
정답: 3번 경석고(무수석고) 플라스터는
응결이 느리기때문에 경화 촉진제
( 명반)을 사용하며, 강도가 크고 수축 균열이 적다
6. 조적조에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횡력에 대한 수직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내력벽을 일체로 하여 하중을
균등히 분포시키기 위하여,
3, 지붕, 바닥 및 벽체의 하중을
내력벽에 전달하기 위하여
4, 가로 철근의 끝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정답: 4번
테두리보의 역할 : 분산된 벽체를
이체로 하여 균등한 하중 분포,
벽체의 수직균열에대한방지,
보강블록조의 세로 철근을 테두리보에 정착,
집중하중을 받는 부분을 보강
7. 다음 중 유성페인트의
구성 성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료
2, 건성유
3, 광명단
4, 건조제

정답 : 3번 유성페인트 구성 성분 :
안료, 건성유, 희석제, 건조제
8. 현장타설 말뚝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숏크리트 공법
2, 리버스서큘레이션 공법
3, 어스드릴 공법
4, 베노토 공법

정답 : 1번
숏크리트공법
: 굴착지반이나 비탈면 등에
시멘트, 골재, 물 등을 혼합하여 압축공기로 뿜어서
자유면에 달라붙게 만드는 공법

/ 현장타설 말뚝 기계굴삭공법
: 베노토 공법, 리버스 서큘레이션공법,
어스드릴 공법
9. 흙을 파낸 후 토량의 부피 변화가 가장 큰 것은?
1,모래
2, 보통흙
3, 점토
4, 자갈

정답 : 3번 토량의 부피 증가율
: 모래 : 15%~20%,
자갈 : 5%~15%,
보통흙 : 30%,
진흙 (점토 ) : 20%~45%
10. 콘크리트 골재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의 입형은 편평,
세장하거나 예각으로 된 것은 좋지 않다,
2,충분한 수분의 흡수를 위하여
굵은 골재의 공극률은 큰 것이 좋다,
3, 골재의 강도는 경화 시멘트페이스트의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4, 입도는 조립에서 세립까지 균등히 혼합되게 한다
정답 : 2번
골재는 입도가 적당해야 하며
굵은 골재의 공극퓰은 작은 것이 좋다
11. 일반적인 일식도급 계약제도를
건축주의 입장에서 볼 때 그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재도급된 금액이 원도급 금액보다
고가로 되므로 공사비가 상승한다,
2,계약 및 감독이 비교적 간단하다
3, 공사 시작 전 공사비를 정할 수 있으며 합리적으로
자금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4, 공사전체의 진척이 원활하다
정답 : 1번
일식 도급은 원도급자가
하도급에 의해 시공시키고
감독하여 완성하므로 하도급금액이 낮아져
공사비가 감소할 수 있지만
공사는 조잡해질 우려가 있다
12. 콘크리트 거푸집을 조기에 제거하고
단시일에 소요강도를 내기 위한 양생 방법은?
1, 습윤양생
2, 전기양생
3, 피막양생
4, 증기양생

정답 : 4번
증기양생 : 거푸집을 빨리 제거하고
단기간에 소요강도를 얻기위해
고온, 고압증기로 보양하는 것으로서
PC 제품이나 한중콘크리트에 적합하다
13. 콘크리트용 골재의 함수상태에서
유효 흡수량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표면건조내부포화상태와
절대건조상태의 수량의 차이,
2, 공기 중에서의 건조상태와
표면건조내부포화 상태의 수량의 차이,
3, 습윤상태와 표면건조내부
포화상태의 수량의 차이
4,습윤상태와 절대건조상태와의 수량의 차이

정답 : 2번
유효흡수량은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와
기건상태의 골재 내에 함유된 수량의 차이를 말한다
14. 방수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수모르타르는 보통 모르타르에 비해
접착력이 부족한 편이다
2, 시멘트 액체방수는 면적이 넓은 경우
익스팬션조인트를 설치해야 한다,
3, 아스팔트 방수층은 바닥, 벽 모든 부분에
방수층 보호누름을 해야 한다
4,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경우 신축이 좋고,
내구력이 좋아 옥외방수에도 사용 가능하다
정답 : 4번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석유계 아스팔트로
신축이 좋고 점착성 방수성이 우수하여
지하실 방수공사에 적용하지만,
연화점이 비교적 낮고
내후성 및 온도에 의한 변화 정도가 커서
옥외공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15. 고로시멘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건조수축이 현저하게 적다,
2, 화학저항성이 높아 해수 등에
접하는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3,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유리하다
4, 장기간 습윤보양이 필요하다
정답 : 1번
고로시멘트는 초기 강도가 낮으나
장기 강도의 발현이 뛰어나다,
건조수축이 발생하며,
해안공사 또는 큰 구조물공사에 적합하다
16. 아일랜드 컷 공법의
시공순서와 역순으로 흙파기를 하는 공법은?
1, 케이슨 공법
2, 타이 로드 공법
3, 트렌치 컷 공법
4,오픈 컷 공법

정답 : 3번 트렌치컷공법
: 건물의 측면이나 주열선 부분을 먼저 파내고
주변부 기초를 축조한 다음 중앙부를 굴착하여
지하 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이며,
아일랜드 컷 공법의 역순으로 시공한다
17. 콘크리트 부어 넣기 에서
진동기를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재료분리 방지
2, 작업능률 촉진
3, 경화작용 촉진
4, 콘크리트의 밀실화 유지
정답 : 4번
진동기는 콘크리트는 타설직후
밀실화를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다지는 기계로서
철근 및 매설물 등의 주위와 거푸집의 구석까지
잘 채워 밀실한 콘크리트가 되도록 해야 한다
18. 다음 중 기경성 재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순석고 플라스터
2, 혼합석고 플라스터
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4, 시멘트 모르타르

정답 : 3번 기경성 미장재료 :
공기중에서 경화하는 재료
(진흙질, 회반죽,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수경성 미장재료 : 물과 작용하여 경화되는 재료
( 석고 플라스터, 무수적고(경석고)플라스터,
시멘트 모르타를, 인조석 바름 )
19.재료를 섞고 몰드를 찍은 후 한번 구워
비스킷(biscuit)을 만든 후 유약을 바르고
다시 한 번 구워낸 타일을 의미하는 것은?
1, 내장타일
2,시유타일
3, 무유타일
4, 표면처리타일

정답 : 2번 시유타일 (유약처리된 타일 )
재료를 석고 몰드로 찍은후 한번 구워
비스킷을 만든 후 유약을 바르고
다시한번 구워낸 타일로서 두번 소성
20. 목구조의 2층 마루틀 중 복도 또는
간사이가 작을 때 보를 쓰지 않고
층도리와 간막이 도리에 직접 장선을 걸쳐 대고
그 위에 마루널을 깐 것은?
1,동바리마루틀
2, 홑마루틀
3, 보마루틀
4, 짠마루틀
정답 : 2번
홑마루틀 : 보를 쓰지않고 칸 사이가 작을때
층도리와 칸막이도리에 직접 장선을 걸쳐 대고
그 위에 마루널을 깐 것

Comment List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

Total 693건 4 페이지
게시물 검색
exr.kr
group_icon패밀리사이트 더보기
dcbooks.co.kr오늘의운세 무료보기
ggemtv.com겜TV
haevich.kr자격증 다시보기
kpopwiz.com케이팝 위즈
manoinfo.com내가게 양도양수
misotv.co.kr짤방로그
parrot.or.kr앵무새 분양센터
mail_icon문의/제안 :
cs@epr.kr

SITEINFO

haevich.kr
My own VLOG Diary that only scraps Youtube videos that I am interested in.

Mail :
cs@epr.kr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53
어제
126
최대
1,545
전체
243,305
Copyright © haevich.kr. All rights reserved.